일본의 지하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의 지하철은 1927년 도쿄 우에노-아사쿠사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현재 삿포로, 센다이, 도쿄, 요코하마, 나고야, 교토, 오사카, 고베, 후쿠오카 등 주요 도시에 광범위하게 운영되고 있다. 철도사업법에 근거하며, 제3궤조 방식과 가선 집전 방식을 혼용한다. 도쿄 메트로, 도에이 지하철 등 여러 사업자가 운영하며, 노선 간 직통 운행이 활발하다. 일부 노선은 급행 열차를 운행하며, 미니 지하철과 같은 독자적인 시스템도 존재한다. 건설비가 높아 적자 운영을 하는 노선도 있으나, 오래된 노선은 흑자 경영을 하는 경우가 많다. 2022년 기준, 도쿄 메트로, 오사카 메트로, 나고야 시영 지하철 등이 높은 수송 인원을 기록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철도 - 사가미 철도
사가미 철도는 가나가와현을 중심으로 운영되는 일본 민영 철도 회사로, 여객 및 화물 노선을 운영하며 여러 철도 회사와의 직통 운행과 마스코트 캐릭터를 통해 광역적인 교통망을 구축하고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 일본의 철도 - 한큐 고베 본선
한큐 고베 본선은 오사카와 고베를 잇는 32.3km의 복선 전철 노선으로, 다양한 등급의 열차가 운행되며 여러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고, 현재 신역 설치 계획과 고베 시영 지하철 직통 운전이 검토되고 있다. - 일본의 지하철 - 오사카시 고속 전기궤도
오사카시 고속 전기궤도는 오사카시 지하철 민영화를 위해 설립되어 지하철 및 뉴트램 노선 운영을 인계받아 BRT 노선 운영, 택시 사업, 역사 리뉴얼 및 상업 시설 운영, 부동산 개발 등 다양한 사업을 하고 있다. - 일본의 지하철 - 오사카 시영 지하철
오사카 시영 지하철은 1933년 미도스지선 개통을 시작으로 8개의 지하철 노선과 1개의 무인 운송 시스템 노선을 운영했으며, 2018년 Osaka Metro에 운영이 이관되었다.
일본의 지하철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국가 | 일본 |
운행 시작 | 1927년 12월 30일 도쿄 지하철 긴자선 |
총 노선 길이 | 2,910 km (2021년 기준) |
역 수 | 2,007개 (2021년 기준) |
시스템 | |
전철화 방식 | 직류 750 V 직류 1500 V 교류 20,000 V 25,000 V |
궤간 | 1,067 mm 1,372 mm 1,435 mm |
신호 시스템 | ATS ATC CBTC |
역사 | |
최초 개통 | 1927년 12월 30일 도쿄 지하철 긴자선 (우에노 ~ 아사쿠사) |
주요 개발 시기 | 1960년대 ~ 1970년대, 1980년대 ~ 현재 |
특징 | |
특징 | 세계적으로 발달한 지하철 시스템 중 하나 도시 교통의 중요한 역할 담당 복잡한 네트워크와 기술적 혁신 특징 다양한 사업자가 운영 (공영, 사영) 상호 직결 운행 환승 시스템 발달 첨단 기술 도입 |
기타 | |
관련 항목 | 일본의 철도 일본의 도시 철도 |
2. 역사
일본 지하철의 역사는 1927년 도쿄 지하철도(현재의 도쿄 메트로 긴자선) 아사쿠사역 - 우에노역 구간(약 2.2km) 개통으로 시작되었으며, 이는 동양 최초의 지하철로 기록된다.[7][8][9] 이 구간에는 4개의 지하역이 있었으며, 일본 지하철 협회는 이를 "일본 최초의 본격적인 지하철"이라고 평가한다.[7]
이후 오사카시, 나고야시 등 주요 도시에도 지하철이 건설되었다. 특히 오사카시는 1933년 우메다역-신사이바시 구간을 개통하며 시가 직접 지하철 사업을 추진했다.[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경제 성장과 함께 지하철 건설이 가속화되었다. 1954년에는 '지하 고속철도 정비 사업비 보조 제도'가 제정되어, 오사카시를 제외한 지하철 건설은 지방철도법(현 철도사업법)에 따라 건설되게 되었다.[3] 1960년대 이후 자동차 보급이 확대되면서 대도시에서는 고속 대량 수송이 가능한 지하철 건설이 더욱 활발해졌다.[3]
다음 표는 일본 최초의 지하철 노선으로 여겨지는 노선들을 정리한 것이다.
개통 연도 | 용도 | 사업 주체 | 현재 노선명 | 지하 구간 | 지하 구간 / 사업 연장 | 비고 |
---|---|---|---|---|---|---|
1915년 (다이쇼 4년) | 화물 | 체신성 | (빨간 벽돌 통로) | 도쿄역 - 도쿄 중앙우체국 | 약 0.2km / 약 0.2km | |
1925년 (다이쇼 14년) | 여객 | 미야기 전기 철도 | JR 동일본 센세키선 | 미야기 전기 철도 센다이역 - 히가시나나방초역 | 약 0.4km / 약 15km | 단선 |
1927년 (쇼와 2년) | 도쿄 지하철도 | 도쿄 메트로 긴자선 | 아사쿠사역 - 우에노역 | 약 2.2km / 약 2.2km | 복선 국가 인정 “일본 최초” |
2. 1. 여명기
일본에 지하철을 건설하는 계획은 1906년(메이지 39년)에 도쿄 지하 전기 철도가 고륜(高輪) - 아사쿠사 구간 및 긴자 - 신주쿠 구간의 면허를 신청한 것이 처음이다.[3] 이것은 실제로 건설하기 위한 목적보다는 유럽과 미국의 지하철 건설 상황을 파악하고, 먼저 철도 면허를 얻으려는 의도였으며, 도쿄시의 반대로 기각되었다.1915년(다이쇼 4년)에는 도쿄역 지하를 다니는 우편물, 화물 전용 지하철이 개통되었다.
건설을 전제로 한 면허 신청은 1917년, 하야카와 도쿠지(도쿄 지하 철도)에 의해 신청되었다. 1914년에 런던의 지하철을 시찰한 하야카와는 도쿄에 지하철을 도입할 필요성을 절감하고, 도쿄 경편 지하철도를 설립하여 고륜 - 아사쿠사 및 차사카(車坂)(우에노) - 미나미센주(南千住) 구간에 경편철도법에 의한 설치 면허를 신청했다. 계획에 따르면 총연장 15.3km, 궤간(軌間)은 1372mm, 전기는 제3궤조식이다.
이 면허 신청을 받아, 다른 지하철도 면허 출원이 잇따랐다. 1918년, 도쿄요코하마 전철(무사시 전기 철도)이 가미메구로(上目黒) - 유라쿠초 구간을, 1919년에는 도쿄 고속 철도(초대 회사로, 현재의 오다큐 전철의 전신에 해당하며, 후술하는 현재의 긴자선 시부야 - 신바시 구간을 개업한 회사와는 다르다)가 히비야 - 시부야, 가스미가세키 - 신주쿠, 히비야 - 이케부쿠로, 히비야 - 우에노 구간을, 도쿄 철도가 고타다 - 무코지마(스미다구) , 시부야 - 미나미센주, 하라주쿠 - 스가모, 신주쿠 - 스사키(洲崎)(도쿄도), 메지로 - 이케부쿠로 구간에서 면허를 신청하였다.
이러한 신청에 대해, 먼저 1919년 11월 17일에 도쿄 지하 경편 철도에 면허가 교부되었다. 1920년 1월 14일에 다이쇼 9년 도쿄시 고시 제2호 「도쿄시 구 개정 설계 고속 철도망」으로 7개 노선이 발표되었고, 이 노선망에 따라 같은 해 3월 17일에 장래 도쿄시가 매입할 가능성을 제시한 후 무사시 전기 철도, 도쿄 고속 철도, 도쿄 철도에도 다음 구간의 면허가 교부되었다.
- 도쿄 경편 지하철도: 15.3km (고륜미나미마치(高輪南町) - 아사쿠사코엔히로코지, 차사카마치(車坂町) - 미나미센주마치(南千住町))
- 무사시 전기 철도: 8.0km (메구로 - 유라쿠초)
- 도쿄 고속 철도: 14.1km (나이토신주쿠(内藤新宿) - 오오츠카)
- 도쿄 철도: 33.4km (메구로 - 오시아게, 이케부쿠로 - 스사키, 스가모 - 만세바시)
2. 2. 도쿄 지하철도
정부로부터 면허를 받은 하야카와 도쿠지는 1920년에 「도쿄 지하철도 주식회사(東京地下鉄道株式会社)」(초대)를 설립하고, 1919년에 경편철도법(軽便鉄道法)에서 지방철도법(地方鉄道法)에 따라 계획 궤간도 1435mm로 변경했다. 그리고 지질 조사를 진행한 결과, 1923년에 신바시 - 우에노역 구간의 공사 시행 인가를 받는다. 그러나 같은 해 9월 1일에 발생한 간토 대지진의 영향으로 시행 구간을 우에노 - 아사쿠사역으로 변경하여, 1925년 9월 27일에 착공되었다.[7][8][9]도쿄 지하철도가 채용한 오픈컷 공법(オープンカット工法)을 사용한 깊이 1.5m의 노하식(路下式) 지하철은, 착공 후 2년 만인 1927년 12월 30일에 개업했다. 차량은 1000형이라고 불리는 전강제(全鋼製) 차량이며, 일본 최초로 도어 엔진을 채용했다. 안전 면에서는 뉴욕 지하철과 마찬가지로, 다코식(打子式) 자동열차정지장치(自動列車停止装置)를 채용하고, 안전 다다미 담장(安全畳垣)도 장비하고 있다.[7][8][9]
1930년 1월 1일에는 만세이바시역(만세이바시), 1931년 11월 21일에는 칸다까지 순조롭게 연장되었고, 1934년 6월 21일에는 신바시까지의 노선이 완성되었다.[7][8][9]
2. 3. 도쿄 고속 철도
1934년 도쿄 고속 철도 주식회사가 설립되어, 시부야역-신바시역 구간 건설을 시작했다. 1939년 1월 15일 시부야역-신바시역 구간이 개통되었고, 1940년 도쿄 지하철도와 직통 운행을 시작했다. 1941년 제국 고속도 교통 영단(현재 도쿄 메트로)이 설립되어, 도쿄 지하철도와 도쿄 고속 철도가 통합되었다.[13]2. 4. 오사카 지하철
1933년 우메다역-신사이바시 구간이 개통되었다. 오사카에서는 오사카시가 사업 주체가 되어 지하철 계획을 추진했다.[3]2. 5. 기타 도시
1948년 오사카에서는 새로운 도시 계획이 수립되었는데, 종전의 1호선부터 3호선까지는 기존 계획을 계승했지만, 4호선과 5호선은 각각 오사카 항 - 방출, 신자키가와 - 히라노 간의 동서 노선으로 계획되어, 도심부는 격자형 노선망[14]을 가지는 페터젠식 노선망을 기본으로 하였다.2. 6.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54년(쇼와 29년) '''지하 고속철도 정비 사업비 보조 제도'''가 제정됨에 따라, 오사카시를 제외한 지하철 건설은 지방철도법(현・철도사업법)에 따라 건설되게 되었다.1960년대 이후 자동차 보급 확대에 따라 지방 도시에서는 전용 차로가 없는 대중교통인 노선버스가 증가하였고, 대도시에서는 고속으로 대량 수송을 할 수 있는 지하철이 건설되기 시작했다.[3]
- 1957년 11월 15일 - 나고야 시영 지하철 도야마 선 개업.
- 1971년 12월 16일 - 삿포로 시영 지하철 남북선 기타24조역 - 마코마나이역 구간 개업.
- 1972년 12월 16일 -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블루 라인 이세사키쵸자초역 - 카미오오카역 구간 개업.
- 1977년 3월 13일 - 고베 시영 지하철 니시신 선 나야역 - 신나가타역 구간 개업.
- 1981년 5월 29일 - 교토 시영 지하철 카라스마 선 키타오지역 - 교토역 구간 개업.
- 1981년 7월 26일 - 후쿠오카 시영 지하철 공항선 무로미역 - 덴진역 구간 개업.
- 1987년 7월 15일 - 센다이 시영 지하철 남북선 야오토메역 - 토미자와역 구간 개업.
- 1994년 8월 20일 - 히로시마 고속 교통 히로시마 신교통 1호선 혼도리역 - 코우이키코엔마에역 구간 개업(신교통 시스템이지만, 혼도리역 - 현청앞역 구간은 지하 고속철도 정비 사업비 보조 제도의 적용 대상임).
2. 7. 향후 계획
현재 오사카시에서는 나니와스지 선 건설이 진행 중이다. 이 노선은 서일본 여객철도(JR 서일본)와 난카이 전기철도가 운영할 예정이며, "지하철 건설에 있어 보조금을 사용한 노선"이라는 지하철 정의에 해당한다.[15] 한편, 도쿄도에서는 2040년대 완성을 목표로 도심부·림해 지역 지하철 구상 검토가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 착공 단계는 아니다.3. 노선
일본의 지하철은 도쿄도(東京都)를 비롯하여 오사카시(大阪市), 나고야시(名古屋市), 요코하마시(横浜市), 삿포로시(札幌市), 교토시(京都市), 고베시(神戸市), 후쿠오카시(福岡市), 센다이시(仙台市) 등에서 통근, 통학, 관광 등 다양한 목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도쿄의 지하철은 도에이 지하철과 도쿄 메트로(東京地下鉄)를 합쳐 오사카시 고속 전기궤도(大阪市高速電気軌道)보다 훨씬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며, 다른 대도시 지역에 비해 압도적인 점유율을 차지한다. 3대 도시권(三大都市圏)에서는 서비스가 지상 노선과 크게 다르지 않지만, 지하를 통과하여 토지 수용(土地収用)이 어려운 지역까지 노선망을 구축하고 있다. 도쿄 도심부(東京都区部)와 오사카시, 나고야시에서는 도심(都心)의 주요 이동 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반면, 삿포로, 후쿠오카, 센다이(札仙広福(地方中枢都市))에서는 지상의 재래선보다 더 자주 운행하여 도시 내 교통의 중심 역할을 한다.[62]
일본은 강수량(降水量)이 많고 대도시가 충적평야(沖積平野)를 중심으로 발달했기 때문에, 지하철을 건설하려면 지하수(地下水)가 풍부한 연약 지반(地盤)을 파고 들어가 지진(地震)에도 견딜 수 있는 지하 터널(トンネル)과 지하역(地下駅)을 건설해야 한다.[3] 따라서 고도의 토목 기술(土木技術)이 필요하며, 건설 비용도 매우 비싸다.
1954년(쇼와 29년) '''지하 고속철도 정비 사업비 보조 제도'''가 제정되면서, 오사카시를 제외한 지하철 건설은 지방철도법(현・철도사업법)에 따라 건설되게 되었다.
국토교통성은 "지하철에 대한 명확한 정의는 없다"[16]고 하지만, 철도통계연보에서는 도쿄 메트로(東京地下鉄), 삿포로시 교통국(札幌市交通局), 센다이시 교통국(仙台市交通局), 도쿄도 교통국(東京都交通局), 요코하마시 교통국(横浜市交通局), 나고야시 교통국(名古屋市交通局), 교토시 교통국(京都市交通局), 오사카시 고속전기궤도(大阪市高速電気軌道), 고베시 교통국(神戸市交通局), 후쿠오카시 교통국(福岡市交通局) 등 10개 기관을 "지하철 사업자"로 분류한다.[1][2]
"지하철 건설에 보조금을 사용한 사업자를 지하철 사업자로 한다"는 관점에 따르면, 위 10개 기관 외에 사이타마 고속철도(埼玉高速鉄道), 가미이다 연락선(上飯田連絡線), 나카노시마 고속철도(中之島高速鉄道), 니시오사카 고속철도(西大阪高速鉄道), 간사이 고속철도(関西高速鉄道), 고베 고속철도(神戸高速鉄道), 히로시마 고속교통(広島高速交通)을 포함한 17개 사업자가 해당된다.[16]
3. 1. 철도통계연보 기준
사업자 | 명칭 | 조직 형태 (자본 상황) | 노선 수 | 총 연장 (km) | 역 수 | 개업년도 | 사업 종별 | 비고 |
---|---|---|---|---|---|---|---|---|
삿포로시 교통국 | 삿포로 시영 지하철 | 지방 공영 기업 | 3 | 48km | 46 | 1971년 | 철도 | 일본 유일의 고무 타이어식 지하철 |
센다이시 교통국 | 센다이 시영 지하철 | 지방 공영 기업 | 2 | 28.7km | 29 | 1987년 | 철도 | style="text-align:left" | |
도쿄도 교통국 | 도영 지하철 | 지방 공영 기업 | 4 | 109km | 98 | 1960년 | 철도 | 미타선 시로카네타카나와 - 메구로 구간 2.3km는 제2종 철도 사업자 |
도쿄 메트로 | 도쿄 메트로 | 특수회사 (일부 공유) | 9 | 195.1km | 142 | 1927년 | 철도 | 후쿠토신선과 유라쿠초선의 공용 구간 (코타케무카이하라 - 와코시)은 중복 계상하지 않음 유라쿠초선 지선 및 남북선 지선이 사업 허가 취득 (개업 예정은 2030년대 중반) |
요코하마시 교통국 |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 지방 공영 기업 | 3 | 53.4km | 40 | 1972년 | 철도 | 1·3호선(블루 라인)은 일체적으로 운행하고 있으므로 실질적으로는 노선 수 2 |
나고야시 교통국 | 나고야 시영 지하철 | 지방 공영 기업 | 6 | 93.3km | 87 | 1957년 | 철도 | 카미이이다선 전선(0.8km)는 제2종 철도 사업자 (시설 보유는 가미이다 연락선) |
교토시 교통국 | 교토 시영 지하철 | 지방 공영 기업 | 2 | 31.2km | 31 | 1981년 | 철도 | |
오사카시 고속전기궤도 | Osaka Metro | 일반 회사 (공유) | 9 | 137.8km | 108 | 1933년 | 철도 궤도 | 총 연장 중, 추오선 오사카코 - 코스모스퀘어(2.4km)와, 난코 포트타운선 코스모스퀘어 - 트레이드센터마에(0.6km)는 제2종 철도 사업자 (시설 보유는 오사카코 트랜스포트 시스템) 총 연장 중, 철도: 5.7km, 궤도: 132.1km |
고베시 교통국 | 고베 시영 지하철 | 지방 공영 기업 | 5 | 38.1km | 26 | 1977년 | 철도 | 니시신 연장·니시신·야마테·키타신선은 일체적으로 운행하고 있으므로 실질적으로는 노선 수 2 |
후쿠오카시 교통국 | 후쿠오카시 지하철 | 지방 공영 기업 | 3 | 31.4km | 36 | 1981년 | 철도 |
3. 2. 지하 고속철도 정비 사업비 보조 제도 적용 노선
1954년(쇼와 29년)에 제정된 '''지하 고속철도 정비 사업비 보조 제도'''는 일본의 지하철 건설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이다. 이 제도에 따라 건설된 노선은 다음과 같다.사업자 | 노선명 | 조직 형태 (자본 상황) | 노선 수 | 총 연장 (km) | 역 수 | 개업년 | 사업 종별 | 비고 |
---|---|---|---|---|---|---|---|---|
사이타마 고속철도 | 사이타마 고속철도선 | 제3섹터 | 1 | 6.2 | 4 | 2001년 | 철도 | 지하 고속 철도 정비 사업비 보조 제도에 따라 건설된 구간은 아카바네이와부치역 - 하토가야역 간 실제로는 총 연장의 97%(14.2 km[17])가 지하 구간이며, 지하역은 총 7개이다. |
가미이다 연락선 | 메이테쓰 고마키선 | 제3섹터 | 1 | 3.1 | 3 | 2003년 | 철도 | 제3종 철도 사업자(운행은 나고야 철도) |
지하철 가미이다선 | 제3종 철도 사업자(운행은 나고야 시 교통국) | |||||||
나카노시마 고속철도 | 케이한 나카노시마선 | 제3섹터 | 1 | 3.0 | 5 | 2008년 | 철도 | 제3종 철도 사업자(운행은 케이한 전기철도) |
니시오사카 고속철도 | 한신 난바선 | 제3섹터 | 1 | 3.8 | 5 | 2009년 | 철도 | 제3종 철도 사업자(운행은 한신 전기철도) |
간사이 고속철도 | JR 도자이선 | 제3섹터 | 1 | 12.6 | 9 | 1997년 | 철도 | 제3종 철도 사업자(운행은 서일본 여객철도) |
〈나니와스지선〉 | 제3종 철도 사업자(운행은 서일본 여객철도, 난카이 전기철도(예정)) 나니와스지선의 사업 허가 취득(2031년 봄 개업 예정)[18] | |||||||
고베 고속철도 | 고베 고속선 | 제3섹터 | 3 | 7.6 | 10 | 1968년 | 철도 | 제3종 철도 사업자(운행은 한신 전기철도, 한큐 전철, 고베 전철) |
히로시마 고속교통 | 아스트람라인 | 제3섹터 | 1 | 18.4 | 22 | 1994년 | 철도 궤도 | 지하 고속 철도 정비 사업비 보조 제도에 따라 건설된 구간은 혼도오리역 - 현청앞역 간 실제로는 총 연장의 약 10%(1.9 km[17])가 지하 구간이며, 지하역은 총 4개이다. |
3. 3. 도시 고속 철도의 지하 구간·지하역
구 도시교통심의회 답신에서 지하철 노선과 일체적으로 정비 대상으로 지정된 노선, 지하철에서 연장된 종착 구간을 민간 사업자가 운영하는 노선, 지상 노선의 지하 구간은 다음과 같다.이름 | 사업자 | 비고 |
---|---|---|
도쿄 지하철 | 도쿄 메트로 | 후쿠토신 선-유라쿠초 선 공용 구간은 중복 계산하지 않음. |
사이타마 고속 철도선 | 사이타마 고속 철도 | |
린카이 선 | 도쿄 임해 고속 철도 | |
미나토미라이21 선 | 요코하마 고속 철도 | |
오사카 메트로 | 오사카시 고속 전기궤도 | 난코 포트타운선 포함. |
고베 고속 철도 | 고베 고속 철도 | |
아스트람 선 | 히로시마 고속 교통 | 지하철로 취급하는 구간인 혼도리 ~ 현청앞 구간에 대한 자료임. |
3. 4. 지하철 직통 연결역
일본의 지하철은 통근, 통학, 관광 등 다양한 목적으로 널리 이용된다. 특히 도쿄의 지하철은 도에이 지하철과 도쿄 메트로를 합쳐 다른 대도시 지역보다 압도적인 수송량을 자랑한다. 3대 도시권에서는 지상 노선과 비슷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토지 수용이 어려운 지역까지 노선망을 구축하고 있다. 특히 도쿄 도심부와 오사카시, 나고야시에서는 도심의 주요 이동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다.나고야 시영 지하철 1호선(현재의 도야마 선) 건설 당시 지방철도법(현재의 철도사업법)과 궤도법 중 어느 법률을 적용할지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1954년에 '''지하 고속철도 정비 사업비 보조 제도'''가 제정되면서 오사카시를 제외한 대부분의 지하철 건설은 지방철도법에 따라 이루어지게 되었다.
1960년대 이후 자동차 보급이 확대되면서 지방 도시에서는 전용 차로가 없는 노선 버스가 증가했고, 대도시에서는 고속 대량 수송이 가능한 지하철이 건설되기 시작했다.
- 1957년 11월 15일 - 나고야 시영 지하철 도야마 선 개업.
- 1971년 12월 16일 - 삿포로 시영 지하철 남북선 기타24조 역 - 마코마나이 역 구간 개업.
- 1972년 12월 16일 -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블루 라인 이세사키초자초 역 - 가미오오카 역 구간 개업.
- 1977년 3월 13일 - 고베 시영 지하철 니시신 선 묘다니 역 - 신나가타 역 구간 개업.
- 1981년 5월 29일 - 교토 시영 지하철 가라스마 선 기타오지 역 - 교토 역 구간 개업.
- 1981년 7월 26일 - 후쿠오카 시영 지하철 공항선 무로미 역 - 덴진 역 구간 개업.
- 1987년 7월 15일 - 센다이 시영 지하철 남북선 야오토메 역 - 도미자와 역 구간 개업.
- 1994년 8월 20일 - 히로시마 고속 교통 히로시마 신교통 1호선 혼도리 역 - 고이키코엔마에 역 구간 개업(신교통 시스템이지만, 혼도리 역 - 현청앞 역 구간은 지하 고속철도 정비 사업비 보조 제도 적용 대상).
고베 고속철도는 산요 전기 철도 본선의 고베 도심 연장, 한큐 고베 본선·한신 본선과 산요 전기 철도 본선 연결 및 고베 전철 아리마 선과의 연결을 위해 설립되었다. 자체적으로 운행하지 않고 지하 노선과 지하역 시설 보유 및 관리에 특화된 운영을 했었다. 이 회사는 일본 지하철 협회에 가입했었지만, 철도사업법 개정에 따라 선로 보유(제3종 철도사업자)에 전념하게 되면서(한큐·한신·신철이 고베 고속선으로 각 역을 관리) 일본 지하철 협회에서 탈퇴했다.
4. 구조
일본의 지하철은 통근, 통학, 관광 등 다양한 목적으로 널리 이용된다. 특히 도쿄의 지하철은 도에이 지하철과 도쿄 메트로를 합쳐 다른 대도시 지역에 비해 압도적인 수송 인원과 점유율을 기록한다. 3대 도시권에서는 지상 노선과 거의 동일한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토지 수용이 어려운 지역까지 노선망을 구축하여 도심의 주요 이동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지방권에서도 지상의 JR 노선을 능가하는 운행 빈도로 도시 교통의 중심 역할을 수행한다.
강수량이 많고 대도시가 충적 평야를 중심으로 발달하는 일본의 지리적 특성상, 지하철 건설에는 지하수가 풍부한 연약 지반을 뚫고 지진에도 견딜 수 있는 고도의 토목 기술이 필요하며, 건설 비용도 상당히 높다.[3]
일본 최초의 지하철은 1915년 철도원(현 JR) 도쿄역과 도쿄 중앙우체국 사이에 개통된 우편물 반송용 지하 궤도이다. 여객 노선으로는 1925년 미야기 전기 철도(현 JR 동일본 센세키선)의 센다이역과 히가시나나방초역 사이 구간이 최초이다. 1927년 개통한 도쿄 지하철(현 도쿄 메트로 긴자선)의 아사쿠사역-우에노역 구간은 일본 최초의 본격적인 지하철로 평가받는다.[7]
개통년도 | 용도 | 사업주 | 현재 노선명 | 지하 구간 | 지하 구간 /사업 연장 | 비고 |
---|---|---|---|---|---|---|
1915년 | 화물 | 逓信省 | (빨간 벽돌 통로) | 도쿄역 - 도쿄 중앙우체국 | 약 0.2km /약 0.2km | |
1925년 | 여객 | 宮城電気鉄道 | JR 동일본 센세키선 | 미야기 전기 철도 센다이역 - 히가시나나방초역 | 약 0.4km /약 15km | 단선 |
1927년 | 도쿄 지하철 | 도쿄 메트로 긴자선 | 아사쿠사역 - 우에노역 | 약 2.2km /약 2.2km | 복선 국가 인정 “일본 최초” |
도시교통심의회의 답신에 따라 도심부 지하철과 함께 정비되어야 할 도시고속철도로 지정된 노선들은 다음과 같다.
- 게이힌 급행 전철 게이큐 본선 센가쿠지 - 신바시 간[19]
- 게이세이 전철 게이세이 오시아게선 오시아게역 부근
- 호쿠소 철도 호쿠소 철도 호쿠소선 야기리역 부근
- 도요 고속 철도 도요 고속 철도 도요 고속선 니시후나바시 - 야치요미도리가오카 간, 도요카쓰타다이 부근[19]
- 도쿄 급행 전철 도큐 메구로선 후도마에 - 오오카야마 간, 메구로 부근, 덴엔초후 부근[20]
- 세이부 철도 세이부 유라쿠초선 네리마 주변을 제외한 전 구간[19]
- 오다큐 전철 오다와라선 요요기우에하라 - 우메가오카 간, 세이조가쿠엔마에 부근[19]
- 게이오 전철 게이오 신선 사사즈카 주변을 제외한 전 구간[19]
- 게이오 전철 게이오선 시바사키 - 게이오 다마가와 간, 신주쿠 부근[19]
- 도쿄 급행 전철 도큐 덴엔토시선 시부야 - 후타코타마가와 간[19]
- 나고야 철도 메이테쓰 도요타선 아카이케 부근[21]
4. 1. 지하철역
1995년 옴진리교 지하철 사린 사건 이후, 일본의 지하철역은 재해 대비책이 강화되었다. 특히, 테러 발생 시 독가스 등의 확산을 막기 위한 환기 시설 및 감시 시스템이 확충되었다.[3]이용객이 많은 역에서는 혼잡 완화를 위한 다양한 대책이 시행되고 있다. 승강장 확장, 환승 통로 개선, 임시 개찰구 설치 등 물리적인 시설 개선뿐만 아니라, 시간대별 열차 운행 조정, 안내 인력 배치 등 운영상의 개선도 이루어지고 있다.
4. 2. 집전 방식
일본의 지하철은 제3궤조 방식과 가공 전차선 방식을 혼용하고 있다. 교외 노선과의 직통 운전을 고려하여 가공 전차선 방식을 채택하는 경우가 많다.4. 3. 차량
일본의 지하철 차량은 노선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보인다. 오래된 노선에서는 지상 철도와 유사하게 대형 차량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8] 그러나 2000년대 이후로는 미니 지하철이 증가하는 추세이다.4. 3. 1. 미니 지하철
미니 지하철은 일반적인 지하철처럼 많은 사람들을 수송하는 시스템과 모노레일이나 버스와 같이 적은 인원을 수송하는 시스템의 중간 부분을 담당하기 위해 연구·개발된 중량궤도수송시스템의 일종이며,[23][24][25][26] 일본 고유의 지하철 시스템이다.[27]소단면 터널·소형 차체를 채용하는 지하철 중 리니어 모터카를 이용하는 경우는 “리니어 메트로(リニアメトロ)” 또는 “리니어 지하철(リニア地下鉄)” 등으로 불린다. 일본에서는 이 경우, 부상하지 않고 리니어 모터의 동력을 차륜에 전달하여 레일 위를 주행하는 “철륜식 리니어 모터카”가 된다. 지하철 노선은 크게 휘는 구간이 많고, 또 100km/h 이하로 주행하기 때문에, 리니어 모터를 부상과 구동 양쪽에 사용하는 자기부상식 철도(리니어 중앙신칸센 등)과 같이, 선형이 직선적이고 시속 수백 km의 고속 주행을 목적으로 하는 노선과는 건설 사상이 다르다.
일반적인 지하철이나 철도는 그 무거운 차량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도 상당한 무게가 있지만, “리니어 지하철”은 차량에 무거운 모터를 탑재할 필요가 없어짐으로써 차량 중량이 가벼워져 높은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즉, 등판 능력이 80‰까지 가능하다고 여겨진다.[28] 실제 노선에서 허용되는 최대 구배는 60‰까지[29]라고는 하지만, 일반적인 지하철이나 철도에서 계획되는 35‰를 크게 상회할 수 있다.[31] 예를 들어, 최신의 센다이 시영 지하철 도호쿠 선에서는 야기야마 동물공원역이 상당히 높은 곳에 있는 지하철역(표고 136.4m)이 되어 있으며, 중간의 아오바야마를 오르는 터널 구간에는 최대 구배 57‰가 있다. 또한, 약 50m (R50)의 급곡선에서도 주행 가능하다고 여겨진다.[28] 실제 노선에서는 최소 곡선 반경이 대략 100m (R100)이 되어 있다고는 하지만, 일반적인 지하철이나 철도에서 허용되는 160m (R160)과 비교하여 급곡선에도 대응할 수 있다는 특징도 갖는다.[28][30]
일본에서는 1962년부터 철도에 리니어 모터를 사용하는 연구가 시작되었다.[31] 당시, 전국에 국철 차량기지(야드)가 약 50곳 있었지만, 야드의 분류선에서 인력으로 화차를 이동시키는 라이더 요원의 노력 절감을 목표로, 1967년에는 자동적으로 정 위치로 이동하는 리니어 모터 구동 방식의 분류선 내 화차 가감속 장치 “L2형 화차 돌발 장치”가 개발되어, 더욱이 “L4형 화차 가감속 장치”를 탑재한 화차 “L4카”가 각지의 야드에서 활약했다.[32][33]
두 차례의 석유 파동을 거치면서 일본의 지하철 건설비는, 고물가라고 불린 인플레이션도 있어서 50-80억 엔/km(1975년경)에서 약 200억 엔/km(1980년경)로 상승하고, 더욱이 300-400억 엔/km(1980년대 말)가 되려고 했기 때문에 비용 대비 효과가 악화되었다.[31] 그러나, 러시아워에 정원을 초과하여 만원 전철에 탑승시키는 밀어넣기가 등장할 정도로 도시 교통 수요는 증가하고 있었고, 자동차 보급에 의한 교통 전쟁이나 대기 오염 등 도시 문제 해결에 지하철은 필요한 교통 수단이었다. 그 때문에 1976년에 소단면 지하철에 리니어 모터 탑재 전차를 주행시키는 구상이 제안되었고,[33] 1980년대에 일본철도기술협회→일본지하철협회에 의해 실용화를 향한 본격적인 노력이 이루어져,[31] 1990년 개업의 오사카 시영 지하철 쓰루미료치선(현・나가호리쓰루미료치선)에서 처음으로 실용화되었다.[34]
이름 | 노선 | 개업 | 차량 | 전고 (mm) | 전폭 (mm) | 편성정원 | 최대 구배 | 최소 곡선 | ||||
---|---|---|---|---|---|---|---|---|---|---|---|---|
센다이 시영 지하철 | 도호쿠 선 | 2015년 | 2000계 | 3145mm | 2494mm | 388명(4량) | 57 ‰ | R 105 | ||||
도영 지하철 | 오에도 선 | 1991년 | 12-000형 12-600형 | 3145mm | 2498mm | 780명(8량) | 55 ‰ | R 100 | ||||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 그린라인 | 2008년 | 10000형 | 3105mm | 2490mm | 380명(4량) 584명(6량) | 58 ‰ | |||||
오사카 시영 지하철(현 Osaka Metro) | 나가호리쓰루미료치선 | 1990년 | 70계 | 3120mm | 2490mm | 380명(4량) | 50 ‰ | R 102 | ||||
80계 30번대 | 3120mm | 2496mm | 377명(4량) | |||||||||
이마자리 스지 선 | 2006년 | 80계 | 3120mm | 2496mm | 377명(4량) | 50 ‰ | R 83 | |||||
고베 시영 지하철 | 해안선 | 2001년 | 5000형 | 3120mm | 2490mm | 362명(4량) | 50 ‰ | R 100 | ||||
후쿠오카 시영 지하철 | 나나쿠마 선 | 2005년 | 3000계 | 3145mm | 2490mm | 378명(4량) | 40 ‰ | R 100 | ||||
(참고)JR (차량 한계) | 신칸센 | 4500mm | 3400mm | |||||||||
재래선 | 4100mm | 3000mm | ||||||||||
(참고)도쿄 메트로 | 유라쿠초 선 | 7000계 | 4145mm | 2800mm | ||||||||
긴자 선 | 1000계 | 3465mm | 2550mm | |||||||||
(참고)나고야 시영 지하철 | 도야마 선 | N1000형 | 3440mm | 2500mm | ||||||||
(참고)교토 시영 지하철 | 도자이 선 | 50계 | 3375mm | 2489mm | ||||||||
(참고)런던 지하철 | 노던 선 | 1995형 | 2875mm | 2629mm | ||||||||
(참고)광저우 지하철 | 4호선 | SFM03형 | 3625mm | 2890mm |
종래의 지하철에 비해 리니어 지하철은 소비 전력이 다소 커진다. 원인으로는 리니어 유도 모터 특유의 손실과, 1차측과 반응 플레이트와의 틈이 많다는 점이 들 수 있다. 단위 중량당 단위 거리당의 소비 전력으로 비교하면, 관성으로 주행할 수 있는 거리(관성 구간)가 길수록 소비 전력이 적어지기 때문에, 역간 거리가 길고 곡선이 완만한 보통 철도와 비교하면 종래형 지하철 및 리니어 지하철은 많아지지만, 역간 거리가 짧고, 신호 정지가 많고, 급한 곡선이 많고, 여러 가지 기재를 실을 필요가 있는 노면 전차와 비교하면 적어지고 있다.
종류 | 단위 중량당 단위 거리당 의 소비 전력 | 최대 구배 [37] | 최소 곡선 | 비고 |
---|---|---|---|---|
보통 철도 | 19.2Wh/t・km | 35 ‰ | R 160 | |
지하철 | 32.6Wh/t・km | |||
리니어 지하철 | 35.1Wh/t・km | 60 ‰ | R 100 | |
신교통 시스템 | 63.9Wh/t・km[38] | 도로 부속물 | ||
노면 전차 | 69.3Wh/t・km[38] | 40 ‰[39] | R 11 | 병용 궤도내는 편성 길이 40m 이하 최고 속도 40km/h 이하 |
LRT | 42.9Wh/t・km |
5. 특징
일본의 지하철은 도쿄, 오사카, 나고야, 요코하마, 삿포로, 교토, 고베, 후쿠오카, 센다이 등 주요 도시에서 통근, 통학, 관광 등 다양한 목적으로 널리 이용된다. 특히 도쿄의 지하철은 도쿄도 교통국(도영 지하철)과 도쿄 지하철(도쿄 메트로)을 합쳐 오사카시 고속전기궤도(오사카 메트로)보다 훨씬 많은 승객을 수송하며, 다른 대도시에 비해 압도적인 점유율을 차지한다. 3대 도시권(도쿄, 오사카, 나고야)에서는 지하철이 지상 노선과 거의 동등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토지 수용이 어려운 지역까지 노선망을 구축하여 도심의 주요 이동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지방권 도시(삿포로, 후쿠오카, 센다이)에서도 지하철은 도시 교통의 중심 역할을 한다.
일본은 강수량이 많고 대도시가 충적 평야를 중심으로 발달하여 지하철 건설 시 지하수가 풍부한 연약 지반을 뚫고 지진에도 견딜 수 있는 강한 터널과 지하역을 건설해야 한다.[3] 따라서 고도의 토목 기술이 필요하며, 건설 비용도 매우 비싸다.
일본 최초의 지하철은 1915년 철도원(현 JR) 도쿄역과 도쿄 중앙우체국(현 JP타워) 사이에 개통된 우편물 수송용 지하 궤도이다.[6] 여객용 지하철은 1925년 미야기 전기 철도(현 JR동일본 센세키선) 센다이-히가시나나반초 구간에서 시작되었다. 1927년에는 도쿄 지하철(현 도쿄 메트로 긴자선) 아사쿠사-우에노 구간이 개통되었는데, 이는 일본 지하철 협회에서 "일본 최초의 본격적인 지하철"로 인정받고 있다.[7]
개통 연도 | 용도 | 사업 주체 | 현재 노선명 | 지하 구간 | 지하 구간 / 사업 연장 | 비고 |
---|---|---|---|---|---|---|
1915년 | 화물 | 체신성 | (빨간 벽돌 통로) | 도쿄역 - 도쿄 중앙우체국 | 약 0.2km / 약 0.2km | |
1925년 | 여객 | 미야기 전기 철도 | JR 동일본 센세키선 | 미야기 전기 철도 센다이역 - 히가시나나반초역 | 약 0.4km / 약 15km | 단선 |
1927년 | 도쿄 지하철 | 도쿄 메트로 긴자선 | 아사쿠사역 - 우에노역 | 약 2.2km / 약 2.2km | 복선, 국가 인정 “일본 최초” |
국토교통성은 "지하철에 대한 명확한 정의는 없다"고 밝히고 있지만,[16] 철도통계연보에서는 도쿄 메트로, 삿포로시 교통국, 센다이시 교통국, 도쿄도 교통국, 요코하마시 교통국, 나고야시 교통국, 교토시 교통국, 오사카시 고속전기궤도, 고베시 교통국, 후쿠오카시 교통국 등 10개 기관을 "지하철 사업자"로 분류한다.[1][2] 지하철 건설 보조금을 사용한 사업자를 포함하면, 위 10개 기관 외에 사이타마 고속철도, 가미이다 연락선, 나카노시마 고속철도, 니시오사카 고속철도, 간사이 고속철도, 고베 고속철도, 히로시마 고속교통 등 17개 사업자가 해당된다. 일본 지하철 협회는 15개 사업자를 "일본의 지하철"로 소개하고 있지만,[7] 협회 발행 자료와 철도통계연보의 정의는 일치하지 않는다.[17]
고베 고속철도는 지하 노선과 지하역 시설 보유·관리에 특화된 운영을 했으나, 철도사업법 개정에 따라 선로 보유에 전념하게 되면서 일본 지하철 협회에서 탈퇴했다.
사업자 | 명칭 | 조직 형태 (자본 상황) | 노선 수 | 총 연장 (km) | 역 수 | 개업 연도 | 사업 종별 | 비고 |
---|---|---|---|---|---|---|---|---|
삿포로시 교통국 | 삿포로 시영 지하철 | 지방 공영 기업 | 3 | 48.0 | 46 | 1971년 | 철도 | 일본 유일의 고무 타이어식 지하철 |
센다이시 교통국 | 센다이 시영 지하철 | 지방 공영 기업 | 2 | 28.7 | 29 | 1987년 | 철도 | style="text-align:left" | |
도쿄도 교통국 | 도영 지하철 | 지방 공영 기업 | 4 | 109.0 | 98 | 1960년 | 철도 | 미타선 시라카네타카나와 - 메구로 구간 2.3km는 제2종 철도 사업자 |
도쿄 지하철 | 도쿄 메트로 | 특수회사 (일부 공유) | 9 | 195.1 | 142 | 1927년 | 철도 | 후쿠토신선과 유라쿠초선 공용 구간은 중복 계상하지 않음 |
요코하마시 교통국 |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 지방 공영 기업 | 3 | 53.4 | 40 | 1972년 | 철도 | 1·3호선(블루 라인)은 일체적으로 운행하므로 실질적으로는 노선 수 2 |
나고야시 교통국 | 나고야 시영 지하철 | 지방 공영 기업 | 6 | 93.3 | 87 | 1957년 | 철도 | 카미이이다선 전선(0.8 km)은 제2종 철도 사업자 (시설 보유는 가미이다 연락선) |
교토시 교통국 | 교토 시영 지하철 | 지방 공영 기업 | 2 | 31.2 | 31 | 1981년 | 철도 | |
오사카시 고속전기궤도 | 오사카 메트로 | 일반 회사 (공유) | 9 | 137.8 | 108 | 1933년 | 철도, 궤도 | 총 연장 중 일부는 제2종 철도 사업자 (시설 보유는 오사카코 트랜스포트 시스템) |
고베시 교통국 | 고베 시영 지하철 | 지방 공영 기업 | 5 | 38.1 | 26 | 1977년 | 철도 | 니시신 연장·니시신·야마테·키타신선은 일체적으로 운행하므로 실질적으로는 노선 수 2 |
후쿠오카시 교통국 | 후쿠오카시 지하철 | 지방 공영 기업 | 3 | 31.4 | 36 | 1981년 | 철도 |
지하 고속 철도 정비 사업비 보조 제도 적용 대상 사업자는 위 표 외에도 사이타마 고속철도, 가미이다 연락선, 나카노시마 고속철도, 니시오사카 고속철도, 간사이 고속철도, 고베 고속철도, 히로시마 고속교통 등이 있다.
일본 지하철역은 옴진리교 사린 사건 등을 계기로 재해 대비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도쿄의 해발 제로미터 지대를 운행하는 노선에는 방수문이 설치되어 있으며, 도카이 호우로 침수 피해를 본 나고야 시영 지하철 일부 역에도 방수문이 설치되어 있다. 이용객이 많은 역에서는 승강장 구조 개선 등을 통해 혼잡을 완화하고 있다.
과거 백열전구만 사용하던 시절에는 지하철역 조명이 어두웠으나, 형광등 보급 이후 밝기가 개선되었다.
5. 1. 도쿄 도심
도쿄 지하철(도쿄 메트로)과 도쿄도 교통국(도영 지하철) 두 사업자가 도쿄 도심의 지하철을 운영하고 있으며, 요금 체계는 아직 일원화되지 않았다. 도쿄 메트로는 노선 수, 역 수, 이용객 수 모두 도영 지하철보다 많으며, 긴자선, 마루노우치선, 도자이선 등 도심부를 달리는 이용객이 많은 노선을 보유하고 있다.[7]도쿄 도심에서는 JR 야마노테선 내부를 기본적으로 지하철이 담당하고 있다. 사철 노선은 진입하지 않으며, JR 주오선과 복잡하게 얽혀있다.
- 민간 회사 도쿄 지하철의 아사쿠사역 - 우에노역 간(현재의 도쿄 메트로 긴자선)은 일본 최초의 본격적인 지하철 노선이자 동양 최초의 지하철로 알려져 있다.[8][9]
- 지하철 이용객 수 일본 1위는 도자이선이며, 도심부와 성동 지역, 지바현 각남 지역을 잇는 대동맥 역할을 하고 있다.
- 한조몬선은 긴자선의 우회 노선으로, 역간 거리를 넓혀 속도성을 높였다.
- 도영 신주쿠선의 급행(주간 운행만), 도영 아사쿠사선의 에어포트 쾌특, 후쿠토신선의 급행・통근 급행은 도심 구간의 역을 통과한다.
- 도자이선의 쾌속・통근 쾌속은 도심부에서는 각 역에 정차한다.
- 13개 노선의 지하철 중 특수한 규격의 긴자선, 마루노우치선, 오에도선을 제외하고는 모두 사철이나 JR의 교외 노선과 직통 운전을 하고 있으며, 직통 운전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 후쿠토신선은 도쿄 메트로를 포함해 6개 회사가 운행한다.
- 지하철은 모두 고쿄 아래를 피해 주변을 우회하여 건설되었다. 이는 고쿄 지하에 지하철을 통과시키는 것이 경비상의 문제 등으로 허용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5. 2. 오사카 도심
오사카에서는 오사카성 유적이 현재의 업무 중심지에서 다소 벗어난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하철 노선망이 격자형으로 균일하게 짜여져 있다. 각 노선은 오사카 순환선 안쪽에서 거의 남북의 筋과 동서의 通을 따라 건설되었으며, 과거 시영 몬로주의의 흔적도 남아 있어 미도스지선을 중심으로 시내 교통의 주축을 이룬다. 도쿄와는 달리, JR 오사카 순환선은 미도스지선 등 지하철 노선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사철 및 JR과의 상호 직통 운행이 활발하지 않아, 사철이나 JR 역에서 지하철 역까지 환승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일본 지하철에서 가장 많은 수익을 올리는 미도스지선(과거에는 지하철 이용객 수 일본 1위였음)의 우메다역 승하차객 수는 일본 지하철 단일 노선 역으로는 1위이다(2007년 11월 13일 우메다역의 승하차객 수는 460,859명임[41]).
5. 3. 나고야 도심
나고야에서는 오사카와 마찬가지로 도심부에 바둑판 모양으로 펼쳐진 대로의 지하를 따라 지하철이 건설되었다. 노선들이 교차하는 지점에는 반드시 역이 설치되어 있다. 시내 최대 번화가인 사카에와 터미널 역인 나고야역을 잇는, 최초로 건설된 히가시야마 선이 주력 노선이다.나고야 시영 지하철에서는 6개 노선 중 초기 개통한 3개 노선(히가시야마 선, 메이조 선, 메이코 선)이 제3궤조 방식을, 비교적 새로운 3개 노선(쓰루마이 선, 사쿠라도리 선, 카미이이다 선)은 나고야 철도 등과의 직통 운전을 고려한 가공 전차선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그중 2개 노선(쓰루마이 선, 카미이이다 선)은 나고야 철도와 직통 운전을 하고 있다.
6. 우등 열차
일본 지하철에서는 급행 열차가 운행되는 경우가 드물고, 지하 구간에서 대피 운행을 하는 노선도 제한적이다. 다만, 유료 특급 열차 운행 사례는 존재한다.
지요다 선에서는 오다와라 선을 경유하여 하코네 철도 선까지 직통으로 연결되는 유료 특급 열차가 운행되고 있는데, 이는 좁은 의미의 지하철에서는 최초로 시도된 사례이다. 히비야 선에서는 도요코 선을 경유, 미나토미라이 선까지 직통 운행하는 "미나토미라이호"가 운행된 적이 있으나, 성수기에만 한시적으로 운행되었고 현재는 운행이 중단되었다. 사카이스지 선에서는 한큐 교토 본선을 경유하여 아라시야마 선까지 직통 운행하는 임시 특급 열차가 있는데, 이는 일본 지하철 중 유일하게 특별 요금 없이 운행되는 특이한 사례이다. 이러한 사례들은 공통적으로 지하철 구간에서 관광지로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일반적인 급행 및 완행 열차의 분리 운행과는 다른 성격을 가진다.
6. 1. 우등 열차 목록
일본 지하철은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이유로 완행만 운행하거나, 한조몬 선처럼 다른 회사 노선에서는 급행으로 운행하지만 지하철 구간에서는 모든 역에 정차하는 경우가 많다.[42]- 도로 아래에 설치되어 있고, 기존 지하철이나 지하상가 사이를 복잡하게 통과하도록 건설되기 때문에 많은 구간에서 상하 경사와 곡선이 심해 고속 운행에 적합하지 않다.
- 지하철은 건설비가 막대하고 인근 지하 사용 상황을 고려하면 급행 열차의 대피 설비 등을 설치할 공간과 예산을 확보하기 어렵다.
- 지하철은 기본적으로 도시 도심에 건설되기 때문에 많은 역에서 이용객이 많아 자주 정차하는 편이 수익이 더 많다. 또한 많은 역에서 환승 노선이 여러 개 있어 승객 이동이 활발하기 때문에 급행 정차역 설정이 어렵고 급행의 존재 의의가 희미하다.
일본에서 처음으로 급행 열차를 도입한 것은 도자이 선 급행 열차이다. 하지만 지하 구간에서 통과 운행은 미나미스나마치 역 하나뿐이며, 급행과 완행이 함께 운행하는 대부분 구간은 지상 구간이다.
일본 지하철에서 뉴욕 지하철처럼 급행과 완행을 분리 운행할 수 있는 복복선으로 건설된 노선은 없으며,[42] 급행과 완행 연결 및 대피가 가능한 지하역도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급행 열차가 있는 노선이라도 지하 구간에서 추월 운행을 하지 않는 노선이 많다. 지하 구간에서 대피 운행을 하는 것은 도큐 신타마가와 선(현 덴엔토시 선) 급행의 사쿠라신마치 역 사례가 처음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이라고 불리는 구간에서는 신주쿠 선 이와모토초 역, 오시마 역, 후나보리 역, 후쿠토신 선 히가시신주쿠 역도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외 특수한 사례로, 지요다 선에서 오다와라 선 경유 하코네 철도 선 직통으로 좁은 의미의 지하철에서는 최초로 유료 특급 열차 운행(오다큐 로망스카#타사로부터의 승차 참조), 히비야 선에서 도요코 선 경유 미나토미라이 선 직통 "미나토미라이호"(성수기 한정, 운행 종료)가 있다. 한편, 일본 지하철에서 유일하게 특별 요금이 없는 사카이스지 선에서 한큐 교토 본선 경유 아라시야마 선 직통 임시 특급(한큐 교토 본선#아라시야마 선 직통 임시 열차 참조) 사례가 있다. 어느 경우든 지하철 구간에서 관광지로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며, 다른 노선에서의 급행과 완행 분리 운행과는 목적이 다르다.
7. 경영 상황
일본의 지하철은 건설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새로 건설된 노선은 적자인 경우가 많다.[3] 하지만 오래된 노선은 흑자를 기록하는 경우가 많다.
공영 지하철은 지방 자치 단체가 운영하며, 철도 수입 외에도 다양한 효과를 고려하여 경영된다.
국토교통성은 "지하철에 대한 명확한 정의는 없다"[16]고 밝히고 있지만, 철도통계연보에서는 도쿄 메트로(東京地下鉄), 삿포로시 교통국(札幌市交通局), 센다이시 교통국(仙台市交通局), 도쿄도 교통국(東京都交通局), 요코하마시 교통국(横浜市交通局), 나고야시 교통국(名古屋市交通局), 교토시 교통국(京都市交通局), 오사카시 고속전기궤도(大阪市高速電気軌道), 고베시 교통국(神戸市交通局), 후쿠오카시 교통국(福岡市交通局) 등 10개 기관을 "지하철 사업자"로 분류하고 있다.[1][2]
일본 지하철 협회(日本地下鉄協会)는 철도통계연보의 10개 기관 외에 호쿠소 철도(北総鉄道), 사이타마 고속철도(埼玉高速鉄道), 토요하 고속철도(東葉高速鉄道), 요코하마 고속철도(横浜高速鉄道), 히로시마 고속교통(広島高速交通)을 포함한 15개 사업자를 "일본의 지하철"로 소개하고 있다.[7]
7. 1. 공영 지하철
일본의 지하철은 현재 도쿄도를 비롯하여 오사카시, 나고야시, 요코하마시, 삿포로시, 교토시, 고베시, 후쿠오카시, 센다이시 등에서 운영되며, 통근 및 통학 등의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관광객들도 널리 이용하고 있다.국토교통성이 인지하는 지하철 사업자는 다음과 같다.[1][2]
사업자 | 명칭 | 조직 형태 (자본 상황) | 노선 수 | 총 연장 (km) | 역 수 | 개업년도 | 사업 종별 | 비고 |
---|---|---|---|---|---|---|---|---|
삿포로시 교통국 | 삿포로 시영 지하철 | 지방 공영 기업 | 3 | 48.0 | 46 | 1971년 | 철도 | 일본 유일의 고무 타이어식 지하철 |
센다이시 교통국 | 센다이 시영 지하철 | 지방 공영 기업 | 2 | 28.7 | 29 | 1987년 | 철도 | |
도쿄도 교통국 | 도영 지하철 | 지방 공영 기업 | 4 | 109.0 | 98 | 1960년 | 철도 | 미타선 시라카네타카나와 - 메구로 구간(2.3km)은 제2종 철도 사업자 |
요코하마시 교통국 |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 지방 공영 기업 | 3 | 53.4 | 40 | 1972년 | 철도 | 1·3호선(블루 라인)은 일체적으로 운행하므로 실질적으로는 2개 노선 |
나고야시 교통국 | 나고야 시영 지하철 | 지방 공영 기업 | 6 | 93.3 | 87 | 1957년 | 철도 | 카미이이다선 전 구간(0.8km)은 제2종 철도 사업자 (시설 보유: 카미이이다 연락선) |
교토시 교통국 | 교토 시영 지하철 | 지방 공영 기업 | 2 | 31.2 | 31 | 1981년 | 철도 | |
고베시 교통국 | 고베 시영 지하철 | 지방 공영 기업 | 5 | 38.1 | 26 | 1977년 | 철도 | 니시신 연장·니시신·야마테·키타신선은 일체적으로 운행하므로 실질적으로는 2개 노선 |
후쿠오카시 교통국 | 후쿠오카시 지하철 | 지방 공영 기업 | 3 | 31.4 | 36 | 1981년 | 철도 |
2022년 기준으로 삿포로 시영 지하철,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나고야 시영 지하철, 후쿠오카시 지하철은 흑자를 기록했고, 센다이 시영 지하철, 도영 지하철, 교토 시영 지하철, 고베 시영 지하철은 적자를 기록했다.
7. 2. 민영·준공영 지하철
동경 지하철(도쿄 메트로)은 특수회사이며 일부 공유 형태를 띈다. 오사카시 고속전기궤도(Osaka Metro)는 일반 회사이며 공유 형태이다.2022년도 기준으로 도쿄 메트로, 사이타마 고속철도는 흑자를, 요코하마 고속철도, 오사카 메트로는 적자를 기록했다.[1][2]
7. 3. 노선별
일본의 지하철일본어은 도쿄도를 비롯하여 오사카시, 나고야시, 요코하마시, 삿포로시, 교토시, 고베시, 후쿠오카시, 센다이시 등에서 운영되며, 통근 및 통학 등의 일상생활은 물론 관광객들도 널리 이용하고 있다.나고야 시영 지하철은 6개의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초기에 개통된 히가시야마 선, 메이조 선, 메이코 선은 제3궤조 방식을 사용한다. 반면, 비교적 최근에 개통된 쓰루마이 선, 사쿠라도리 선, 카미이이다 선은 나고야 철도와의 직통 운전을 고려하여 가공 전차선 방식을 채택했다. 특히 쓰루마이 선과 카미이이다 선은 실제로 나고야 철도와 직통 운행을 하고 있다.
사업자 | 명칭 | 조직 형태 (자본 상황) | 노선 수 | 총 연장 (km) | 역 수 | 개업년도 | 사업 종별 | 비고 |
---|---|---|---|---|---|---|---|---|
삿포로시 교통국 | 삿포로 시영 지하철 | 지방 공영 기업 | 3 | 48.0 | 46 | 1971년 | 철도 | 일본 유일의 고무 타이어식 지하철 |
센다이시 교통국 | 센다이 시영 지하철 | 지방 공영 기업 | 2 | 28.7 | 29 | 1987년 | 철도 | style="text-align:left" | |
도쿄도 교통국 | 도영 지하철 | 지방 공영 기업 | 4 | 109.0 | 98 | 1960년 | 철도 | 미타선 시라카네타카나와 - 메구로 구간 2.3km는 제2종 철도 사업자 |
동경 지하철 | 도쿄 메트로 | 특수회사 (일부 공유) | 9 | 195.1 〈+7.3〉 | 142 〈+3〉 | 1927년 | 철도 | 후쿠토신선과 유라쿠초선의 공용 구간 (코타케무카이하라 - 와코시)은 중복 계상하지 않음 유라쿠초선 지선 및 남북선 지선이 사업 허가 취득 (개업 예정은 2030년대 중반) |
요코하마시 교통국 |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 지방 공영 기업 | 3 | 53.4 | 40 | 1972년 | 철도 | 1·3호선(블루 라인)은 일체적으로 운행하고 있으므로 실질적으로는 노선 수 2 3호선(블루 라인) 신요코하마 - 아자미노 8.6 km는 지하 고속철도 정비 사업비 보조 제도에 의하지 않고 건설 |
나고야시 교통국 | 나고야 시영 지하철 | 지방 공영 기업 | 6 | 93.3 | 87 | 1957년 | 철도 | 카미이이다선 전선(0.8 km)는 제2종 철도 사업자 (시설 보유는 카미이이다 연락선) |
교토시 교통국 | 교토 시영 지하철 | 지방 공영 기업 | 2 | 31.2 | 31 | 1981년 | 철도 | | |
오사카시 고속전기궤도 | Osaka Metro | 일반 회사 (공유) | 9 | 137.8 | 108 | 1933년 | 철도 궤도 | 총 연장 중, 주오선 오사카코 - 코스모스퀘어 2.4 km와, 난코 포트타운선 코스모스퀘어 - 트레이드센터마에 0.6 km는 제2종 철도 사업자 (시설 보유는 오사카코 트랜스포트 시스템) 총 연장 중, 철도: 5.7 km, 궤도: 132.1 km |
고베시 교통국 | 고베 시영 지하철 | 지방 공영 기업 | 5 | 38.1 | 26 | 1977년 | 철도 | 니시신 연장·니시신·야마테·키타신선은 일체적으로 운행하고 있으므로 실질적으로는 노선 수 2 니시신 연장선 묘다니 - 니시신추오 9.4 km는 지하 고속철도 정비 사업비 보조 제도에 의하지 않고 건설 |
후쿠오카시 교통국 | 후쿠오카시 지하철 | 지방 공영 기업 | 3 | 31.4 | 36 | 1981년 | 철도 | | |
8. 수송 현황
2022년도 기준 1일 평균 수송 인원은 도쿄 메트로가 가장 많고, 오사카 메트로, 나고야 시영 지하철 순이다. 노선별로는 도쿄 메트로 도자이선, 오사카 메트로 미도스지선, 도쿄 메트로 마루노우치선 순으로 수송 인원이 많다.
참조
[1]
웹사이트
鉄道統計年報
https://www.mlit.go.[...]
[2]
웹사이트
JR旅客会社、大手民鉄及び地下鉄事業者の基準単価・基準コスト等の公表について
https://www.mlit.go.[...]
[3]
웹사이트
悩み多い国土 "日本"
https://web.archive.[...]
2012-03-04
[4]
웹사이트
国の重要文化財指定及び機械遺産認定のお知らせ
http://www.chikahaku[...]
2017-09-15
[5]
웹사이트
地下鉄博物館所蔵「日本初の地下鉄車両1001号車」が国の重要文化財に指定されました!
https://prtimes.jp/m[...]
2017-09-29
[6]
간행물
東京中央郵便局沿革史 日本初の地下電車―郵便物搬送用地下軌道―
http://www.postalmus[...]
逓信総合博物館
[7]
웹사이트
日本の地下鉄
http://www.jametro.o[...]
[8]
간행물
特集 東京メトロの世界初・日本初
https://www.tokyomet[...]
東京メトロ
[9]
간행물
地下鉄博物館所蔵「日本初の地下鉄車両1001号車」が国の重要人家剤に指定されました!
https://www.tokyomet[...]
東京メトロ
2017-09-29
[10]
간행물
文化審議会答申 ~国宝・重要文化財(美術工芸品)の指定について~
https://www.bunka.go[...]
文化庁
2017-03-10
[11]
서적
歴史写真. 大正6年5月號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2]
웹사이트
文化遺産オンライン
[13]
간행물
日本最初の地下鉄道
http://www.yu-cho-f.[...]
財団法人ゆうちょ財団
[14]
논문
東京の通勤鉄道路線網計画に関する研究
http://library.jsce.[...]
[15]
뉴스
最後の地下鉄新路線? 仙台「東西線」は何をもたらすか
https://newswitch.jp[...]
2015-12-05
[16]
서적
不思わず人に教えたくなる! 地下鉄の不思議な話
PHP研究所
2012-03-03
[17]
간행물
令和5年度 地下鉄事業の現況(含む資料編)
http://www.jametro.o[...]
日本地下鉄協会
2023-10-26
[18]
문서
関西高速鉄道株式会社 なにわ筋線鉄道事業許可状
http://www.kr-railwa[...]
[19]
웹사이트
国土交通省 都市計画施設の状況
https://www.mlit.go.[...]
2021-09-18
[20]
문서
西小山駅 - 洗足駅間と洗足駅 - 大岡山駅間に短距離の掘割または地上区間あり(踏切はなし)。
[21]
논문
名古屋都市圏の公共交通史の変遷
https://doi.org/10.2[...]
[22]
문서
博物館動物園駅と寛永寺坂駅。前者は1997年営業休止、2004年廃止。後者は1953年廃止。
[23]
웹사이트
新しい公共交通システム調査 報告書
https://www.city.kyo[...]
京都市
2014-12-04
[24]
웹사이트
環境的視点から見た自動車交通代替交通機関の選定1
http://www.isfj.net/[...]
日本大学都市計画研究室
2014-12-04
[25]
웹사이트
LRT 整備前の中心市街地における回遊行動調査* A Questionnaire Survey of Stroll Activity in Central City before Development of Light Rail Transit*
http://www.osaka-san[...]
大阪産業大学
2014-12-04
[26]
웹사이트
日本の中量軌道システムの海外進出
http://www.jcca.or.j[...]
一般法人建設コンサルタンツ協会
2014-12-05
[27]
문서
東京メトロ銀座線、あるいは、名古屋市営地下鉄東山線・名城線・名港線、京都市営地下鉄東西線では、JRや一般の私鉄等の車両と比較して小型な車両を使用しているが、
[28]
간행물
21世紀の都市交通システムを担うリニア地下鉄
http://www.hitachihy[...]
日立評論
[29]
간행물
東京支社仙台鉄道建設所
http://www.jrtt.go.j[...]
鉄道・運輸機構だより
[30]
문서
車体サイズがミニ地下鉄とほぼ同等の京都市交通局東西線に乗り入れる京阪京津線は、地上区間において最急勾配61‰、最小曲線半径40mが存在する。
[31]
간행물
SUBWAY 第196号
http://www.jametro.o[...]
日本地下鉄協会
2013-02-28
[32]
간행물
リニアモーター方式L4形貨車加減速装置
http://www.hitachihy[...]
日立評論
[33]
간행물
リニアメトロ電車の開発時の話
日本鉄道技術協会
[34]
문서
地下鉄ではないが、同様のシステムの鉄道は、1986年、カナダのバンクーバーに開業した高架鉄道スカイトレインがあり、1988年、『88さいたま博覧会』で展示走行した地上線リムトレンがある。
[35]
문서
リニア式ではないが、小型サイズの車両を使ったミニ地下鉄である。
[36]
간행물
鉄道の環境負荷測定手法の確立に向けた取り組み
http://www.jsme.or.j[...]
日本機械学会誌
2009-12
[37]
문서
특認されれば,下記의 값을 상회할 수도 있음.
[38]
문서
VVVF의 경우 값
[39]
문서
부득이한 경우 67‰까지
[40]
PDF
地下鉄営業路線の現況(令和2年4月1日現在)
http://www.jametro.o[...]
日本地下鉄協会
2023-01-17
[41]
서적
平成19年度 地下鉄・ニュートラム 交通調査の結果について
https://megalodon.jp[...]
2008
[42]
문서
노선이 일정 구간 병행하고 있는 등, 유사 복복선의 형태를 이루고 있는 노선이라면, 도쿄메트로긴자선·도쿄메트로한자몬선(시부야역-아오야마이쵸메역간), 도쿄메트로유라쿠쵸선·도쿄메트로후쿠토신선(이케부쿠로역-코타케무카이하라역간)의 예가 있다. 또한, 쇼와 초기, 유럽과 미국의 지하철에서 장점을 받아들여 만들어진 오사카시영지하철미도스지선은 미도스지 동쪽 절반에 건설되어, 장래 서쪽 절반에 복선 노선을 건설하면, 복복선이 되어 급행 운전이 가능한 구조가 되어 있었다.
[43]
웹사이트
地下鉄初の快速電車(メトロアーカイブアルバム)
https://metroarchive[...]
公益財団法人メトロ文化財団
2022-07-16
[44]
서적
令和4年度札幌市高速電車事業損益計算書
https://www.city.sap[...]
2023
[45]
서적
令和4年度高速鉄道事業会計決算
https://www.kotsu.ci[...]
2023
[46]
서적
令和4年度 東京都高速電車事業会計決算書
https://www.kotsu.me[...]
2023
[47]
서적
令和4年度 市営交通事業の決算(速報)について
https://www.city.yok[...]
2023
[48]
서적
令和4年度の決算について
https://www.kotsu.ci[...]
2023
[49]
서적
令和4年度市バス・地下鉄事業決算概要について
https://www.city.kyo[...]
2023
[50]
서적
令和4年度決算について
https://www.city.kob[...]
2023
[51]
서적
令和4年度 福岡市高速鉄道事業会計決算の概要
https://subway.city.[...]
2023
[52]
서적
決算情報
https://www.tokyomet[...]
2023
[53]
서적
令和4年度決算公告
https://www.s-rail.c[...]
2023
[54]
서적
横浜高速鉄道㈱ 2022年度決算について
https://www.mm21rail[...]
2023
[55]
서적
2022年度(2023年3月期)決算公告
https://www.osakamet[...]
2023
[56]
서적
名古屋市交通事業経営健全化検討委員会第 3 回資料
http://www.kotsu.cit[...]
2009
[57]
서적
平成26年度 市営交通事業の決算(速報)について
http://www.city.yoko[...]
2015
[58]
서적
平成30年度決算の概要(高速電車)
http://www.city.sapp[...]
2019
[59]
서적
平成26年度高速鉄道事業会計決算
http://www.kotsu.cit[...]
2014
[60]
서적
京都市高速鉄道事業経営健全化計画
http://www.city.kyot[...]
2010
[61]
뉴스
福岡市営地下鉄 七隈線 62億円の赤字 06年度 乗客、計画の5割未満
https://megalodon.jp[...]
2007
[62]
문서
미개통 구간은 제외하였다. 같은 이름의 역을 중복 계산하지 않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